재활상담
( Rehabilitation Counseling )
|
직업재활상담과정에 있어서 직업재활상담가의 역할, 구체적인 직업재활 상담법, 체계적인 케이스 관리방법, 재활상담에 있어서 윤리적 고려사항 등에 대해 강의함으로써 학생들이 재활현장에 나아가 장애인을 효과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기초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
직업재활개론
( Intro.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
|
장애인의 직업재활과정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체계와 우리나라 직업재활 실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재활학과에서 전공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재활팀의 구성원인 재활의학과 의사, 재활간호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임상심리사, 보조기 의수족 제작사, 특수교사, 직업재활사 등의 업무범위와 역할 등을 강의한다.
|
긍정적행동지원
( Positive Behavior Supports )
|
장애아동과 성인기 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대처방안과 이와 관련된 이론과 교수법에 대해 학습한다.
|
보조공학의이해
( Understanding of Assistive Technology )
|
장애인의 물리적 환경 즉, 생활도구, 재활보조기구, 편의시설, 기타 사회 환경 개선에 기계, 전자, 컴퓨터 등의 관련 지식과 기술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
보호및지원고용론
( Sheltered and Supported Employment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
|
중증장애인을 위한 보호고용 및 지원고용의 개념과 지원되는 다양한 서비스 내용, 즉, 노동시장 분석 및 직업개발, 사업체 협력관계 수립방법, 지역사회와 직업재활시설 작업장안에서의 지원등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
장애의이해와재활
(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
|
장애의 개념 및 범주, 장애유형별 정의, 원인, 특성 및 지도방법과 함께 장애인과 관련된 시책 및 제도 등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서 장애인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
장애인서비스론
(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
본 교과목은 지역사회 장애인 재활시설의 역할과 서비스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자원봉사활동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하며 자원봉사자로서의 바람직한 태도를 기른다.
|
전환교육
( Transition Education )
|
전환교육의 형태 및 단계, 직업전 발달과업, 직업전 평가기술, 특수학교에서의 직업전 교육 등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실무 기능을 습득한다.
|
지역사회재활시설론
( Comunity Facilities of Rehabilitation )
|
직업재활시설을 운영하기 위한 방법과 실태 등을 탐구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시설의 장단점과 중요한 역할은 무엇인지, 또한 개선점과 대안은 어떠한지에 관련된 재활시설운영의 전반적인 지식과 실천방안을 배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