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평가
( VocationalAssessment )
|
직업재활 분야에서 쓰이는 평가도구에 대해 공부하고 실무를 익힌다.
|
자립생활
( Independent Living Study )
|
자립생활은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기회균등 및 자기 준중의 개념을 담고 있는 철학이자 운동이다. 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립생활의 철학적 개념과 내용 그리고 한국의 장애인 운동사 등 다양한 자립생활 이슈를 다루게 된다.
|
장애의진단과평가
( Diagnosis and Assessment of Disability )
|
장애를 진단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학습하고 진단과 평가에 이용되는 검사도구의 특성과 사용방법을 학습한다.
|
장애인가족지원
( Family Suppor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
|
본 과목은 장애와 가족을 둘러싼 다양한 이론적 접근들을 이해하고, 장애인과 그 가족이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가족지원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한다.
|
재활사례관리
(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
|
직업재활과정에서 내담자 개별 사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내담자 상담, 정보수집, 평가, 재활프로그램 계획 및 운영, 직업배치 등의 서비스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
재활정책
( Rehabilitation Policies )
|
장애인을 위한 여러 재활 서비스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전달을 위한 재활 정책과 장애인의 인권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거시적 접근방법으로서의 각종 제도적 입법 노력을 이해하고 탐구한다.
|
재활프로그램개발
(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Program )
|
프로그램의 기획, 관리, 운영기술 및 평가 등 프로그램 전 과정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다루며, 이론 및 사례 연구를 통하여 기관, 단체, 시설 등에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방법을 연구하며, 실습을 통하여 프로그램 계획, 설계, 편성, 실행, 관리,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한다.
|
정신건강론
( Mental Health )
|
정신건강의 중요성과 예방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정신 질환의 원인과 증상에 관한 지식과 이론을 습득하여 정신질환의 유형과 정신장애의 판정기준을 이해하고 정신건강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
직업상담
( Vocational Counseling )
|
전환기 장애인 및 성인기 장애인을 위한 직업적응향상 및 직업기술습득을 위한 상담기법을 학습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