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분야 | 주요 직무 | |||||
---|---|---|---|---|---|---|
장애인복지관 재활상담사 | 지역사회재활시설 재활상담사 | 장애유형별 서비스기관 전문가 | 직업능력평가사 | 지역 보조기구센터 | ||
주요 직무 한줄소개 | 개인의 손상이나 기능 제한, 상황적 요인 등으로 개인 활동이나 사회참여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단과 평가,재활상담과 사례관리, 전환기 서비스 및 직업재활 등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지원한다. |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을전문적으로 상담·치료·훈련하거나 장애인의 일상생활, 여가활동 및사회참여활동 등을 지원하고,특히 직업재활시설 등에서장애인의 작업적 자립을 극대화한다. | 발달장애인지원센터,장애인단체, 자립생활센터 그리고 여러 장애유형의 서비스기관에서 장애인의 Total 재활을 위한 전문가로서의역할을 수행한다. | 재활평가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전문직업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직업적 적성 흥미를 파악하여, 장애인의 직업적 잠재력을 극대화하여 직업적 자립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 장애인이나 노인 등 신체기능이 손상된 사람들을 위해 일상생활 전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기능적 욕구들을 충족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각종 보조기구를 선택, 획득,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
학과 | 필수 교과목 | 직업재활개론, 재활상담, 장애의 이해와 재활, 지역사회재활시설론, 재활행정, 직업상담, 재활정책, 직업평가, 재활사례관리, 직무개발과 배치, 재활실습(1) | 장애의 진단과 평가, 직업평가 임상실습. 직업재활개론, 직업평가 | 보조공학의 이해, 장애의 진단과 평가 | ||
진로분야별추천교과목 |
|
|
|
|
|
|
비교과 | 장애인복지현장 실무자 특강, 재활학과 학술동아리, 재활학과 사회봉사 동아리, 재활관련 기관견학, 국가고시 특강반(워크숍), 모의면접 | |||||
자격증 | 장애인재활상담사 1급 (선택) 사회복지사 |
장애인재활상담사 1급 (선택) 사회복지사증 |
장애인재활상담사 1급 (선택) 사회복지사 |
직업능력평가사 | 장애인재활상담사1급 | |
주요 진출기관/기업 |
|
|
|
|
|